목차
대한항공 보잉 747-400F 화물기, '전시 대비' 화물기로 물자 전달 공군 전술 훈련 참가
대한항공이 최근 전시를 대비한 군수훈련에 참가하여 화물 수송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번 훈련은 군용 장비와 다양한 전시 물품을 공군의 전술 훈련에 활용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대한항공의 보잉 747-400F 화물기가 핵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훈련의 목적은 군용 수송기의 역할을 실전처럼 수행하고, 해외에서 국내로 물자를 이송하는 과정을 숙달하는 것이었습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번 훈련에서 보잉 747-400F 화물기를 투입하여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합 연습에 참여했습니다. 이 연습은 민·관·군이 협력하여 진행된 합동 훈련으로, 실제 대외군사판매(FMS) 물자를 해외에서 국내로 이송하고, 국내 비행기지 간에 물자를 옮기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훈련에는 대한항공 외에도 공군 군수사령부 제60 수송전대,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제11전투비행단, 국수사 항만운영단, 김해공항세관, 한국공항 등 4개 부대와 1개 기관, 2개 업체가 참여하여 총 80여 명이 동원되었습니다.
훈련 과정
대한항공의 보잉 747-400F 화물기는 해외 도입 물자를 수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항공기는 김해를 이륙하여 대구 기지로 향했고, 대구에서 하역된 물자는 군용 화물 팔레트에 재포장된 후, 공군 수송기 C-130에 다시 적재되었습니다. 이후, 이 물자는 서산 공군기지로 연계 수송되었습니다.
훈련을 담당한 공군 군수사령부는 "전쟁이 발발하면 민간 항공기가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물자 수송을 지원하기 위해 동원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훈련을 통해 민항기 공수송 지원 능력을 숙달하고, 작전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며 해외 항공 수송 지원 능력을 강화하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대한항공의 역할
대한항공은 이 외에도 유사시 한반도에 미국의 증원군을 신속히 투입하는 한·미 훈련에서도 항공기를 제공해왔습니다. 지난 3월에는 한·미 상호공수지원협정(Mutual Airlift Support Agreement, 이하 MASA)에 따라 보잉 777(B777) 기를 투입하여 병력 수송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MASA는 한반도의 위기나 전쟁 발발 시 군 병력 수송을 위해 민간 항공기를 지원하는 협정으로, 2004년에 체결된 이후 매년 훈련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대한항공은 공군과 계약을 체결하여 2007년 3월 첫 훈련 때부터 항공기를 제공해왔으며, 2018년 중단 이후 7년 만에 다시 군용 수송기의 역할을 맡아 그 경쟁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대한항공은 군용 수송기 역할에서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결론
대한항공의 보잉 747-400F 화물기는 이번 공군 전술 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시 대비 화물 수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공군 군수사령부와의 협력을 통해 민간 항공기의 전시 물자 수송 지원 능력을 강화하고, 유사시에 빠르고 효과적인 물자 수송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습니다. 대한항공은 앞으로도 군수 지원 훈련과 협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항공 수송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것입니다.
키워드
대한항공, 보잉 747-400F, 전시 대비, 공군 전술 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 FMS 물자, 군용 수송기, 항공 수송, 한·미 상호공수지원협정, MASA
'밀리터리 > 민항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항공기 위치 추적 어플 플라이트레이다24 flightradar24.com 시리아 공급 격추될까봐 비행기 우회 (0) | 2018.04.1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