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밀리터리/함선14

美 니미츠급 핵항모 칼빈슨함 부산 입항 美 니미츠급 핵항모 칼빈슨함 부산 입항지난 2일 오후, 한반도 동해안의 부산이 미국 해군의 강력한 해상 전력을 직접 맞이했습니다. 바로 니미츠급 핵추진 항공모함 ‘칼빈슨함’(CVN-70)이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하면서, 우리나라 해양 안보 및 국제 정세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번 입항은 단순한 항구 방문을 넘어 미국의 해군력 과시와 동북아 지역에서의 군사적 긴장 고조를 암시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부산의 해안에 거대한 군함이 정박하는 모습을 통해 우리 모두는 세계 해군 전력의 최첨단 기술과 전술, 그리고 미국 해군의 전략적 의도를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되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해군의 니미츠급 항모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핵추진 항공모함 '칼빈슨함'의 제원,.. 2025. 3. 2.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프린스턴(Princeton CG-59)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프린스턴(Princeton CG-59)칼빈슨함과 함께 작전을 수행하는 또 다른 핵심 전투함은 순양함 프린스턴입니다. 프린스턴은 미국 해군의 다목적 순양함으로서, 공중 및 해상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프린스턴은 첨단 무기 시스템과 정보 전투 체계를 갖추어, 다양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프린스턴 순양함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함명: 프린스턴 (Princeton)급: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소속: 미국 해군길이: 약 173~180미터 (티코더로가급 순양함 기준)배수량: 약 9,800톤 내외승조원: 약 330~350명무장: 다수의 미사일 발사 시스템(VLS), 함포, CIWS(근접 방어 무기) 등주요 임무: 대공 및 대함 전투, 해상 통.. 2025. 1. 31.
미해군 이지스구축함 스터렛 USS Sterett (DDG-104) 제원 아를레이 버크급 미해군 이지스구축함 스터렛 USS Sterett (DDG-104) 제원 아를레이 버크급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전투함은 이지스 구축함 스터렛입니다. 스터렛은 미국 해군의 첨단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장착한 구축함으로, 공중 및 해상에서의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터렛은 최신 레이더 및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갖추어, 적의 미사일 공격이나 전자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스터렛 구축함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함명: 스터렛 (Sterett)급: 알레이 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 최신형 구축함)소속: 미국 해군길이: 약 155~160미터배수량: 약 9,000톤 내외승조원: 약 300명 내외무장: 다수의 미사일 발사 시스템, 함포, 레이더 및 전자전 시스템, CIW.. 2024. 12. 23.
연평해전 참수리 357호 참수리급 고속정 연평해전 참수리 357호 참수리급 고속정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 대한민국과 북한 간의 해상에서 발생한 군사적 충돌로, 그중에서 참수리 357호는 중요한 역할을 한 전투함입니다. 이 해전은 우리 군과 북한 간의 긴장된 관계 속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북한의 공격에 맞서 우리 해군의 방어 능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참수리 357호는 참수리급 고속정으로, 빠른 기동성과 전투 능력을 갖춘 군함으로, 이 사건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용기와 결단력을 보여주었습니다.참수리 357호는 1986년에 취역하여, 해양 경계 및 전투 작전을 위해 설계된 고속정입니다. 총 길이는 약 44.5m, 폭은 7.5m이며, 최대 속도는 40노트(약 74km/h)에 달합니다. 이 고속정은 해양 순찰, 적 잠수함 탐지, 대공.. 2024. 7. 11.
日자위대, 호위함 DDH-184 카가호 ‘항모’로 개조 추진, 軍 대형수송함을 ‘경항공모함’으로 개조 日자위대, 호위함 DDH-184 카가호 ‘항모’로 개조 추진, 軍 대형수송함을 ‘경항공모함’으로 개조일본 해상자위대의 DDH-184 카가호 호위함 항모 개조 추진일본 해상자위대가 호위함을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은 해상 전력의 상징으로서 항공모함을 보유하기 위한 전략적인 단계를 밟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4월 초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해상자위대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스텔스 전투기 ‘F-35B’를 운용하기 위해 호위함 ‘카가’호의 1차 개조를 완료했습니다. 개조된 카가호는 기존의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에서 12대의 F-35B 전투기와 16대의 헬리콥터를 탑재할 수 있는 항공모함으로 변신했습니다.일본은 2018년 발표한 ‘방위력 정비계획’을 통해 이즈모급 호위함 2척을.. 2024. 5. 24.
원자력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 제원, 승무원수 가격, 함재기 종류, 가격, 함장 계급, 항모전단 구성구성 원자력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 제원, 승무원수 가격, 함재기 종류, 가격, 함장 계급, 항모전단 구성구성 미국 해군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현대적인 해군 중 하나로, 그 핵심을 이루는 핵 항공모함은 전략적인 해양 전력의 상징입니다. 그중에서도 로널드 레이건호 핵 항공모함은 미국의 자랑으로 불리며, 그 규모와 기능 면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니미츠급 항공모함 동급함 목록 니미츠급 항공모함 동급함 목록 니미츠급 항공모함 동급함 목록 해군의 핵 항공모함은 미국 해군의 핵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군사력의 상징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 atacms2017.tistory.com 로널드 레이건호 제원 및 승무원 수 미해군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 2024. 4. 3.
미국 이지스 구축함 알레이버크급 제원, 동급함 목록 미국 이지스 구축함 알레이버크급 제원, 동급함 목록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미 해군의 이지스 함선으로, DDG-51 USS 알레이 버크가 최초로 취역한 이후, 일본의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구축함 및 우리나라의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구축함 등의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해군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급 전투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은 그 중요한 한 축을 이룹니다. 이 문서에서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의 주요 제원과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징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은 이지스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과는 대조적으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선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지스 시스템의 특성.. 2024. 3. 31.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의 무장과 장비 핵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의 무장과 장비 핵 항공모함은 군사적으로 가장 강력한 전함 중 하나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무장과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인 로널드 레이건호는 미국 해군이 보유한 핵 항공모함 중 하나로, 그 성능과 능력은 전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항공모함은 현대 전투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최첨단 무장과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소개를 살펴보겠습니다. 항공모함 무장 시스패로 (Syspalaro) 수직방향 발사체로, 다양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RIM-116 램 (Rolling Airframe Missile) 대공 및 대잠 미사일로, 고속이동하는 대상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팰렁스 CI.. 2024. 3. 14.
SSN-688 로스앤젤레스급 공격 잠수함 (Los Angeles Class Submarine) 제원, 동급함 목록 SSN-688 로스앤젤레스급 공격 잠수함 (Los Angeles Class Submarine) 제원, 동급함 목록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미국 해군의 핵 잠수함으로서, 현대 전투 환경에서 핵전함의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은 뛰어난 기술력과 다목적 임무 수행 능력으로 소위 "해저의 유령"으로 불립니다. 로스앤젤레스급(Los Angeles Class)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되는 공격 잠수함으로, 전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핵추진 잠수함의 중요한 구성원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의 역사, 기술적 특징, 및 운용 상황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역사적 배경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1960년대 말에 미 해군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이 당시, GDEB(General Dynamics Electr.. 2024. 3. 8.